AWS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오늘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시스템과 가장 유명한 서비스 업체인 AW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통적인 IT 방식의 문제점
전통적인 IT 방식의 경우 회사가 직접 호스팅을 했습니다. 회사가 직접 서버를 운영하거나 데이터 센터를 대여해서 관리하는 형태입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문제점이 많았다. 먼저 직접 운영하지 못하면 데이터 센터 렌트 비용을 지불해야 했죠. 대부분 월/년 으로 정기적인 지출이 발생하고, 기간을 유동적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른 문제로는 회사에서 직접 서버를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서버 관리 같은 개발적인 영역외에도 기기 냉각, 전력 공급 등 번거로움이 많습니다. 또한 새로운 서버가 필요할 경우 이를 추가하거나 교체하는 일도 직접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모되죠.
이런 인력적인 문제 말고도 천재지변에 대응하지 못하는 등 추가적인 문제도 많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불편함으로 전통적인 방식을 개선하고자 하는 욕구로 클라우드 컴퓨팅이 등장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은 무엇일까요? 클라우드라는 이름에 맞게 마치 구름에 서버를 올려놓는 개념과 비슷합니다. 여기서 구름은 인터넷을 의미합니다. 즉 인터넷만 접속이 가능하다면 언제 어디서든 서버를 대여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
앞서 말했듯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만 연결되면 언제든 활용이 가능한 유연한 시스템입니다. 또한 월간, 연간으로 지불할 필요 없이 사용한 만큼만 지불이 되는 pay-as-you-go-pricing이 적용됩니다. 특수한 조건에서 사용량이 많은 서비스의 경우 서버의 임대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는 장점도 있죠. 예를 들어 서버 이용량이 적은 새벽 시간대에는 보다 적은 서버를 사용 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듯 클라우드 컴퓨팅은 유연하게 용량의 크기와 활용 시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시스템 엔지니어들이 하던 일들을 클릭 몇번으로 바로 활용 가능한 시스템이죠. 요약하면 과거의 기술보다 유연하고, 빠르며, 확장성이 좋은 기술로 계속 성장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AWS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또 국내 기업인 네이버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가장 돋보이는 서비스는 AWS입니다. AWS는 가장 오래된 클라우드 서비스로 대부분의 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보다 훨씬 안정적입니다. 규모도 크지만 서비스 제공의 안정성이 AWS의 최고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게이밍, 웹 호스팅, 소셜 앱, 기업형 등등 서비스 제공이 다양한 점도 AWS가 가진 두드러짐이죠. 전 세계에 데이터 센터를 가지고 있는 AWS는 앞서 전통적인 IT 데이터 센터가 가진 문제점인 천재지변의 변수도 쉽게 해결합니다. 또한 큰 규모로 인해 효과적인 트레픽 분산이 가능합니다. 그러면 몇가지 중요한 서비스를 알아볼까요?
-
EC2(Elastic Compute Cloud): 몇 분안에 구동 가능한 가상 서버
-
VPC(Virtual Private Cloud): AWS 네트워크 망안의 사용자 전용의 사설 네트워크 망(고객이 구축 가능한 가상의 네트워크 존)
-
S3(Simple Storage Service): 파일 업로드 및 공유(API 제공하는 공간에 파일데이터를 넣으면 데이터 제공을 방해하기 때문에 존재)
-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클라우드에서 데이터 베이스 관리(데이터 베이스 대여)
-
ELB(Elastic Load Balancing): 서버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골고루 여러개의 머신으로 전달(서버로 오는 부하를 분산 시킬 때 활용함)
이렇게 다양한 서비스가 존재합니다. 물론 이외에 다양한 서비스가 있지만 이 5가지 서비스가 클라우드 컴퓨팅의 코어입니다. 이와 익숙해지면 다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해도 쉽게 적응이 가능합니다.